시간이 지나면서 그 값어치를 인정받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러한 것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겠지만 그중 조금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희귀동전인데요. 옛날에 만들어졌다고 해서 모든 것이 희귀동전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그 중에서도 특정 동전들이 희귀동전들로 분류가 됩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동전은 10원, 50원, 100원, 500원이 있는데요. 그러므로 지금 사용되는 이러한 동전 중에 언제 만들어진 것이 희귀동전에 속하는지 희귀동전 가격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500원
일단 500원짜리 동전 중에 값어치가 인정받는 것은 바로 1998년도에 발행된 것입니다. 1998년은 우리나라에 IMF가 왔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시절이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500동전도 8,000개만 생산을 했습니다.
보통 통전을 처음 발행하게 되면 수십만 개 넘게 발행을 하는데, 사정이 어렵다보니, 8000개만 발행을 하게 된 것이죠. 상태만 깨끗하다면 500원짜리 희귀동전 가격표는 50만 원 이상 넘게 거래가 되고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30만 원 정도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100원
100원짜리는 1981년도에 발행한 것이 희귀동전에 속하는데요. 보존 상태만 좋다면 비록 100원 짜리라고 해도 희귀동전 가격표는 기본 20만원은 넘어가게 됩니다. 보존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크게 깎이지 않는 것이 100원짜리입니다.
*50원
50원짜리는 1972년에 발행한 것이 희귀동전에 속합니다. 왜냐하면 당시에는 100원과 10원짜리 밖에 없었는데, 이 사이를 메우기 위해 1972년도에 처음으로 50원짜리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보존상태가 좋은 것을 기준으로 15~20만 원 정도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10원
10원 짜리는 1966년도 발행한 것이 희귀동전에 속합니다. 이유는 이 때 10원짜리가 최초 발행됐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태가 좋으면 10원짜리 희귀동전 가격표는 20만원까지 거래가 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1970년에 적동으로 만든 것도 10~20만 원 정도 거래가 되기도 합니다.
희귀동전 충족요건
희귀동전 가격표를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이렇듯 아무거나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희소성으로 일단 양이 적으니, 그 값어치가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두 번째는 동전의 상태입니다. 얼마나 잘 보존이 되었느냐에 따라 가격이 올라갈 수도 있고, 내려갈 수도 있는 것이죠. 그러므로 동전의 상태도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만약 자신의 집에 동전을 모아둔 것이 있다면 지금 당장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요. 혹시나 이 중에 하나라도 있을 수도 있으니, 기대하는 마음으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0원이 10만원이 될지 누가 알겠어요.